티스토리 뷰


구글 크롬캐스트 3 구입, 넷플릭스와 꿀조합! (+크롬캐스트 사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얼마전 구매해 잘 사용하고 있는 구글 크롬캐스트 3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해요.ㅎㅎ


(크롬캐스트 사용법도 간단하게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처음 구매하게 된 계기는 넷플릭스 때문이었는데요,


넷플릭스 1개월 체험을 통해 둘러보다 보니 괜찮고 볼만한 콘텐츠가 꽤 많더라구요.


모바일이나 노트북으로도 볼 수 있지만 아무래도 영화를 볼 땐 큰 티비 화면으로 볼 수 없는게 아쉬웠어요.


그래서, 넷플릭스 컨텐츠를 tv 화면을 통해 보기 위해 구글 크롬캐스트 3 을 구매하게 되었답니다.^^


크롬캐스트 3는 병행수입 버전과 국내 정식 발매 버전 두 가지가 있는데,


국내 정식 발매 버전이 가격이 약간 비싸긴 하지만


a/s등 여러가지 점들을 고려했을 때 편할 것 같아서 그냥 국내 발매 버전으로 구입했습니다. :)


넷플릭스를 모바일 화면으로만 보다가 큰 티비 화면으로 보니까 정말 신세계가 따로 없더라구요.ㅋㅋ


넷플릭스 뿐만 아니라 유튜브도 티비 화면으로 볼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크롬캐스트 개봉기부터 사용법까지 간단하게 소개해 보도록 할게요.




제가 구매한 구글 크롬캐스트 3입니다.


구글 로고가 그려진 박스에 포장되어 있고, 넷플릭스, 유튜브 등 사용 가능한 앱도 나와 있네요.












tv 프로그램, 영화, 사진, 유튜브 동영상 등등을 큰 tv 화면으로 즐길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1080p HD가 지원되며, tv의 hdmi 포트에 간편하게 연결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나 노트북 화면을 tv에 미러링하는것도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이건 어플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듯 해요.ㅎㅎ














떨리는 마음으로(?) 구글 크롬캐스트 3 박스를 열어 보았습니다.












구글 크롬캐스트 3은 이렇게 동그란 모양으로 생겼답니다. :)


기기 모양 자체는 굉장히 심플하네요.^^












이 부분을 티비의 HDMI 단자에 꽂아주면 됩니다.












구성품은 이렇게 되어 있어요.


크롬캐스트 본체, 전원 연결잭과 어댑터, 그리고 설명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크롬캐스트 사용법은 설명서에 안내가 되어 있는데요, 일단 설치하는 법은 무지 간단하더라구요.


크롬캐스트를 tv의 hdmi포트에 연결하고 전원 어댑터를 콘센트에 연결해주면 됩니다.












요게 바로 전원 연결 케이블!


한쪽이 usb로 되어 있는데요, 전원 어댑터에 연결하지 않고 tv의 usb 단자에 연결해도 전원 공급이 되더라구요.












요렇게 전원 케이블 한쪽을 크롬캐스트 본체에 연결시켜주면 됩니다.


본체 옆쪽에 보이는 작은 버튼은 초기화(리셋) 버튼인데요,


전 와이파이 연결하는 과정에서 여러번 오류가 나서 몇번 초기화 했던 기억이 나네요.ㅜㅜ


(연결 과정이 다른분들 말씀하시는 것처럼 아주 간단하지만은 않았어요..ㅋㅋ 자세한건 뒤에서!)












티비의 hdmi 케이블에 연결을 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전원 어댑터 대신 티비의 usb 단자 부분에 꽃아 주었어요.












전원이 공급되면 이렇게 불이 들어옵니다.ㅎㅎ











이렇게 연결을 한 뒤, tv의 외부입력을 크롬캐스트와 연결된 hdmi포트를 전환하면 되는데요,


이렇게 한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게 아니고 구글 홈(google home)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정을 마쳐야 합니다.


저도 어플을 바로 설치해 주었답니다. :)












시작하기를 누르면 이렇게 자동으로 알아서 기기 검색을 시작하더라구요.












크롬캐스트를 찾았다는 화면이 나오면 ‘예’를 눌러주면 됩니다.












연결 중이라는 화면이 뜨고...












집에서 사용중인 와이파이와 자동으로 연결되게 됩니다.












그런데.... 전 갑자기 이런 화면이 뜨더라구요.ㅜㅜ


“chromecast 설정이 완료되었으나 기기를 찾을 수 없습니다.


휴대기기와 chromecast 기기가 같은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ap격리 사용 중지라는 생소한 단어도 막 나오고...


순간 남들은 다 쉽게 연결하던데 이게 뭐야!! 하는 생각과 함께 좌절했다죠.ㅋㅋㅋㅋ


분명히 같은 와이파이에 연결을 했는데 이해가 되지 않더라구요.ㅜㅜ


ap 격리가 뭔지도 모르겠고...;;


그래서 집에 있는 와이파이 공유기 (kt giga wifi 사용중)를 초기화 시키고...


크롬캐스트도 다시 초기화를 시킨 뒤,


2~3번의 시도 끝에 결국 연결에 성공했습니다..;;


계속 안되다가 어느 순간에 연결이 되더라구요.ㅎㅎ


(휴대폰 와이파이도 껐다 켜보고 했던것 같네요.ㅋㅋ)








어쨌든 이렇게 연결만 완료하고 나면 크롬캐스트 사용법 자체는 간단합니다.ㅎㅎ


넷플릭스, 유튜브 등을 재생한 뒤 화면의 자그마한 미러링 아이콘을 눌러주기만 하면 tv로 바로 보내져요.


(tv 외부입력을 크롬캐스트가 설치된 hdmi로 설정해좋은 상태에서 저 아이콘이 뜹니다.)





정말 좋은 건 이렇게 tv로 한번 컨텐츠를 보내 놓기만 하면, 핸드폰은 그냥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었어요.^^


아직은 넷플릭스, 유튜브 두 가지만 사용해 봤는데 나중에 다른 어플들에도 활용해봐야겠습니다.ㅎㅎ


전 크롬캐스트 사용법보다는 연결하는 과정에서 애를 먹긴 했지만,


어쨌든 만족스럽게 사용하는 중이에요. :)


집에서 영화보는 걸 좋아하는데 앞으로 넷플릭스에 있는 콘텐츠들 하나하나씩 감상해볼 생각입니다.ㅎㅎ



(+)

연결이 쉽다는 후기들이 많은데, 환경에 따라서 저처럼 쉽게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ap 격리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ap 격리 사용중이신 분들은 먼저 알아보고 구매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댓글